지난해 엑셀러레이터법(중소기업창업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올해 초부터 액셀러레이터 등록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가 제시한 등록 조건을 충족한 엑셀러레이터는 창업기획자라는 명칭을 갖고 활동하며 펀드 구성 자격 및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 법안은, 초기 스타트업이 성장해 투자회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수익화가 어려웠던 엑셀러레이터가 적극적으로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엑셀러레이터 연합체인 ALF(Accelerator Leaders Forums)에 소속된 민간 액셀러레이터는 엑셀러레이터법 발효 직후 암묵적으로 등록 보이콧을 진행했다. 이는 시장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일방적인 운영 방침이 문제가 됐다. 가장 큰 현안은 펀드 참여 구성원의 제한이다. 등록을 마친 엑셀러레이터는 개인투자조합을 만들 수 있지만, 이 투자조합에 기업 LP는 참여할 수 없고, 조합에 개인 LP만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되면서 큰 규모의 펀드는 구성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팁스프로그램 운영사로 선정되려면 무조건 엑셀러레이터로 등록해야 하는 조건도 유연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지난해 팁스 운영사 중 한 곳이 보조금 비리와 연루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를 막히 위해 모니터링 차원에서 등록제를 활용하겠다는 취지겠지만, 엑셀러레이터 입장에서는 등록하지 않으면 정부 사업에 참여할 수 없고, 세제혜택도 받을 수 없도록 제한한 건 규제안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혜택을 주지 않겠다는 것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지만 7월 말 현재 엑셀러레이터로 등록을 마친 엑셀러레이터는 29개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