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셀러레이터는 단순히 초기에 돈을 투자하고 인력과 네트워크를 동원하고 데모데이 등 행사를 치르기 위해 상당한 비용을 감수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민간 액셀러레이터는 어떻게 돈을 버는 것일까?
 
해외에서는 액셀러레이트 시스템을 일찍부터 사업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육 프로그램으로 상품화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플러그앤플레이는 광범위한 그곳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한국이나 인도, 덴마크, 싱가포르 등 정부에서 선발한 스타트업을 대리 보육하는 형태의 사업을 진행중이다. 투자는 별도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정부에서 스타트업을 보육하기 위한 비용을 지급한다.
 
테크스타 등 기업화된 액셀러레이터의 경우 MS의 하드웨어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을 대행운영하고 있으며 R/GA와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구성해주고 공동으로 운영 협력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 대기업으로부터 운영비를 보조받으며 대기업은 이로 인해 소싱한 스타트업을 인수합병의 대상으로 삼거나 협력과 제휴처로 활용해 수익보전에 대한 장기 투자를 모델로 삼는 경우도 있다. 원활한 소통과 효과적인 성장을 위해 대기업 내부의 전문 인력이 멘토로 참여하게 된다.
 
한국의 경우 SK 브라보리스타트 프로그램이나 노키아 스타트업 공모전 등을 벤처스퀘어 총괄로 위탁 수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정부의 산하 기관이 운영하는 K-글로벌 사업이 위탁 운영사로 여러 액셀러레이터가 참여하기도 한다. 이 때 인건비와 멘토링비, 행사 진행비 등의 비용을 보조받는다.
 
하지만 이런 보조 프로그램 위탁 운영 대행만으로는 액셀러레이터의 수익성을 담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투자를 회수하지 못하면 결국 현금 흐름이 막히거나 운영비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실제로 2016년 이후 다수의 중소 액셀러레이터가 자체 프로그램 진행을 멈추었다.

 

외부 자본을 유치하여 펀드를 운영하는 방법이 제한적이라는 점이 국내 민간 액셀러레이터의 가장 큰 고민이다. 외부 자금으로 구성된 펀드를 운영하게 되면, 자체 투자금 비율이 적어지고 이 결과 수익성이 악화되는데, 액셀러레이터들이 바라는 것은 자체 투자금을 축소하더라도 투자 회수에 대한 기대가 현재로서는 많이 낮은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단기 수익보다는 장기 생존을 택하는 셈이다.
 
해외 액셀러레이터의 데모데이의 경우 많은 후속 투자자에 의해 기존 액셀러레이터의 지분을 인수해주는 투자 유치 행위가 이뤄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액셀러레이터 투자 이후 후속 투자 행위는 대부분 구주 인수가 아닌 유상증자 형태로 이뤄지면서, 초기 엔젤을 비롯한 액셀러레이터들이 투자 회수까지 상당한 시간을 인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부 액셀러레이터의 경우 이러한 위험 요소를 감안하여 스타트업의 지분을 과다 보유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액셀러레이터 산업이 시작되고 있는 한국에서 수익모델이 딱히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신규 액셀러레이터의 시장 진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일부 대기업들이 수익성을 포기한 액셀러레이션 사업에 뛰어들면서 오히려 시장을 양극화 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벤처캐피탈과 엔젤클럽, 액셀러레이션 등 초기 기업들에 투자를 하고 이 투자의 성과로 회수와 성장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국내의 M&A 활성화와 기업공개(IPO)까지 걸리는 시간의 단축, 벤처 캐피탈 등 후속 투자 기관이 액셀러레이터의 노력과 성과에 대해 인정하고 투자 회수를 위한 적극적인 인식전환이 이뤄져야 할 때라는 지적이 십 수년째 업계에서 터져나오고 있지만 해결책이 뚜렷하게 보이진 않는다.

 

 

전문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