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3회 정보통신의날을 맞이하여 4월 20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는 ‘2018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이 개최되었습니다. ‘국민의 삶과 안전 지킴이, 과학기술·ICT(정보통신기술)’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기념식은 대한민국을 빛낸 과학기술인과 정보통신기술인을 격려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기념식에서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진흥에 앞장선 유공자 120명에 대한 훈장과 포장, 대통령 표장 및 국무총리 표창 시상이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통령 표창은 정보통신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을 통해 국가 정보화에 기여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
Category Archives: 뉴스
네이버와 홍콩과학기술대학교의 인공지능 연구소가 설립되며, 네이버는 네이버랩스 유럽에 이어 해외에 두번째 인공지능 연구소를 확보하고 인공지능 연구의 글로벌 연계를 강화하게 됐다. 네이버는 홍콩과학기술대학교와 함께 인공지능 연구소를 개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홍콩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설립된 인공지능 연구소의 공식 명칭은 네이버/라인-홍콩과학기술대학 AI 연구소(NAVER/LINE-HKUST AI Laboratory)’로, AI 기술 연구의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 산학공동연구의 시너지를 발휘해 나갈 […]
최근 개별사무실을 얻는 대신 공유오피스에 입주하는 스타트업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젊은 층이 선호하는 트랜디하고 감각적인 공간으로 꾸며놓은 데다 공유 오피스에 입주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이점들 때문이다. 규모에 따른 비용 증가, 공용공간 이용의 불편함 등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이 코워킹스페이스를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타트업이 코워킹스페이스에 입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임대료 때문이다. 대부분 역세권에 위치한 […]
스타트업과 생존을 함께 고민하는 파트너로서의 장기적 협력을 통해 성장 동력을 얻고자 하는 대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글로벌 디스플레이 1위 기업인 LG디스플레이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스타트업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국내 유망 스타트업 찾기에 나섰다. 끊임없는 연구와 도전으로 2009년 이후로는 전 세계 1등의 자리를 내어준 적이 없다는 LG디스플레이가 스타트업과 상생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스타트업 지원사업을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이 스타트업의 성공 요소 중 하나라면 이 팀은 이미 성공에 한 발짝 다가선 것 같다. “저희 채용 서비스를 소개하고 싶어서 무작정 에어비앤비(Airbnb)에 찾아갔어요.” 굿타임 제스퍼 손 대표는 “우리 서비스가 채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거절을 당하는 것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진 않았던 것 같다”고 […]
프랑스를 글로벌 창업 허브로 만들려는 마크롱 대통령의 야심찬 정책 덕인지 전 세계 수많은 젊은이가 파리를 찾는다. 미국에 실리콘밸리가 있다면 유럽에는 파리가 있다고 해도 좋을 만큼 파리는 여행과 낭만의 도시를 넘어 혁신과 미래의 도시로 빠르게 발전 중이다. 해외 창업자와 투자자, 연구 개발자와 가족을 위한 프렌치 테크 비자, 각국 유망 스타트업을 초청해 자금과 공간을 제공하는 프렌치 테크 […]
중국 정부는 ‘대중창업, 만민혁신(大众创业 万众创新)’을 모토로 창업을 통한 혁신이 중국의 성장동력이라 강조하며 제2, 제3의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탄생을 독려하고 있다. 고도 성장기를 마친 뒤 ‘신창타이(新常態 중국판 뉴노멀)’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핵심전략 중 하나가 스타트업으로 대변되는 창업이라는 것을 대외에 알린 정부 정책 기조이기도 하다. 중국 정부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창업과 관련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실패에 대한 […]
잡플래닛이 지난 한 해 동안 유입된 1,017,429건을 토대로 위기 징후 기업을 분석한 결과, 많은 기업들의 위기가 경영진에 기인한다고 발표했다. SNS 등을 통해 외부에 알려지면 기업의 위기를 불러올 수 있는 성범죄, 횡령과 같은 범죄 행위가 1건 이상 감지된 기업을 위기 징후 기업으로 정의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3,421개사를 도출했다. 제보 내용을 바탕으로 이들의 위기 상황을 추적해 보니, 일부 […]
3월 29일 블록체인 업계 동향입니다. ■ K팝에 적용된 블록체인… 한류 가상화폐 ‘케이스타코인’ 론칭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한류 콘텐츠 기반의 암호화폐가 출시됐다. 대중문화를 넘어 가상화폐 시장에도 한류 바람이 불지 관심이 모아진다. 글로벌 한류 콘텐츠 플랫폼 ‘케이스타라이브(KStarLive.com)’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케이스타코인(KStarCoin)’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케이스타라이브는 페이스북 기반 한류 콘텐츠 플랫폼으로 영어로 전 세계 한류팬에게 K팝과 K드라마, […]
지난 몇 년 동안 앱 개발자들은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걱정이 많았다. 하지만 2017년 데이터를 보면 스마트폰 판매와 앱설치수는 2018년에 상향 추세를 이어갈 것이 분명하며 모바일의 성장 여력은 여전히 충분해 보인다. 센서 타워에 따르면 크리스마스에 소비자들이 모바일 앱에 쓴 금액은 전 세계에서 전년 대비 12.3% 증가했고 이 중에서도 게임 외 앱이 가장 많은 매출 증가를 보이며 엔터테인먼트 앱은 전년도 매출의 약 2배를 달성했다. 또한 구독 모델( 소비자가 정기구독을 하는 서비스 모델 )도 모바일 앱의 새로운 수익 트렌드로서 약진하고 있다. 이것은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의 호황을 생각하면 놀라운 일은 아니다. 글로벌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앱 분석 깅버 앱애니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앱 스토어에 지출하는 금액이 30% 더 늘어 2018년에는 그 규모가 1000 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 인도, 브라질은 여전히 상위권 시장이며 특히 앱스토어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지출은 선두를 달리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베트남 역시 주목할 만한 시장이다. 앱스플라이어 (AppsFlyer)는 특히 모바일 게임은 낮은 미디어 비용 때문에 90일 이후에 광고 지출 회수율(return on ad spend)이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모바일 게임은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다. 모바일 게임 포화를 걱정하는 상위권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017년에 한국 및 일본, 대만 아시아 지역에서는 광고 매체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수가 전년 대비 37% 증가했다. 이것은 전 세계 평균보다61% 더 많고 한국을 비롯한 모바일 게임 시장에 투자가 많아지고 있는 것을 뜻한다. 앱스플라이어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 유입 사용자는 자연 유입이 아닌 사용자에 비해 60% 지속률이 높다. 그렇지만 경쟁이 심한 앱 스토어에서는 자연 유입 사용자를 획득하기가 쉽지 않다. 더불어 그런 사용자들이 앱을 발견하기가 어려운 가운데 애플은 앱 스토어의 검색 문제를 해결하고자 iOS 11향 앱 스토어를 다시 설계했다. 하지만 이는 에디토리얼 소재나 UX에 크게 의존하게 만들어 앱 검색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스마트폰 앱에 쓰이는 마케팅 비용은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이것은 유저 획득 비용이 늘었다는 뜻이고 업계가 성장해서 양보다 질을 생각하기 시작한 배경도 있을 것이다.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투자할 수 있는 대기업들의 매출 및 앱 설치 수가 많아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마케터들의 수익화 방법은 변화되고 있다. 유저 당 평균 매출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은 전년 대비 40% 상승했고 이것은 모바일 마케터들이 수익화를 내다보는 진성 유저 쪽으로 예산 방향을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읽기